본문 바로가기

Culture & Hobby

(155)
카인즈 오브 카인드니스(디즈니플러스_2024) 추석연휴동안에 봤던 디즈니플러스에 있던 영화.같은 감독의 잘 알려진 영화 '가여운것들' 작품을 아직 보진 못했지만 이 작품은 감독의 특유의 성향을 한 번에 알 수 있게 만든 영화인 것 같았다.3개의 단편으로 옴니버스식으로 만들어진 영화인데 보기에 불편한 감정을 잘 이끌어내는 감독이라 그런지 보는 내내 불편했지만 자극적이면서도 생각도 많아지는 독특한 영화였다.툭툭 끊어지는 장면에서 보여주는 어색함과 플래시백을 통해서 보여주는 불편함. 극적인 장면으로 인해 기억에 남기게 만드는 기괴함을 다 보여주고 있다. 생각보다 은유적인 표현들이 많이 나와서 그런지 인물들에 다양한 해석들이 나올 수가 있는데 3편의 단편이야기에서 공통으로 보여주는 감정은 (내가 느낀바로는) '집착'인것 같다.복종에 길들어진 생활에서 한번의..
해운대 해운대를 오랜만에 갔다. 이렇게 정비가 잘 되어있는지 몰랐고 외국인들이 이렇게나 많은지 몰랐다. 날씨는 한 여름 찌는 듯한 날씨였지만 8월의 마지막날로 이제는 해수욕장이 문을 닫을 시간이 오는 듯 하다.(벌써 닫았나? 수영하는 사람은 없었다.)해리단길은 초기 연남동 느낌이 나기도 했다. 동선이 좀 복잡하기는 했지만 숨은 가게를 찾는 즐거움이 있는 것 같다. 좀 일찍 와서 구경해서 그런지 오픈한 가게가 많지는 않았지만 브런치가게는 벌써 사람들이 꽉차있었다. 밤은 또 어떨지 모르겠다. (딱 눈에 띄는 한국어 간판이 없는 것이 아쉽긴하다.)올해는 해운대 바닷물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가까이에 바닷가가 있다는 것이 참 좋다. 햇빛이 강한 날 출렁이는 파도를 보는 것이 피곤한 현실에서 큰 위로가 된다. 해운대 바닷..
범어사 더운 날씨에 가는 것 보단 가을에 단풍이 들 때 가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은 사찰이다. (나는 한 여름에 갔다.)범어사는 부산에서 한번은 가봐야할 역사적인 사찰이며 어릴적에 가본것 같은데 기억이 잘 나지 않아 다시한번 방문해봤다. (범어사의 역사는 인터넷으로 잘 나와있다.)사찰의 사이즈가 제법크며 대웅전은 볼 수 있었으나 그 외 다른 곳은 관강객에게 개방되지 않은 곳이 많았다.템플스테이와 함께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니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그 프로그램에 참여해도 좋을 듯하다.외국인들도 참 많이 방문하는 것 같았다. 사실 이번에는 범어사의 본절보다 주변에 있는 암자도 흥미로웠다. 날씨가 너무 더워 청련암밖에 안가봤는데 마지막 두사진의 불상들이 그 암자에 있는 불상들이었고 뭔가 십이지신상까지 있어 위압..
폭군(디즈니플러스_2024) 디즈니플러스가 한국 드라마 영화 시리즈의 투자한 효과가 지금 드러나는 느낌이다.작품의 선정과 기획 그리고 완성도에 있어서 넷플릭스보다 좀 더 나아지고 있다고본다.초기 디즈니플러스의 한국시리즈와 비교하면 사람들이 뭘 좋아하는지 알고 만들고 투자하는 것 같다.하지만 아직 넷플릭스만큼의 가입자가 없어서 그런지 많이 사람들입에서 회자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박훈정 감독의 폭군은 마녀 시리즈의 스핀오프판이라고 한다. 마녀 1은 봤지만 2는 보지 못했는데 사실 안봐도 이야기를 이해하는데에 무리가 없었다. 박훈정 감독은 액션 특히 느와르 장르는 스타일리쉬하게 만드는 능력이 있고 그걸로 인기를 얻은 감독이다. 나는 신세계는 물론 낙원의 밤도 좋아한다. 귀공자는 아직 보지 못했고 디즈니플러스에도 이게 올라왔으면 좋겠..
광복동과 보수동 책모양의 보수동 건물, 그러나 사라져가는 옛 흔적들.삶의 흔적들이 관광상품이 되고있는 시간의 흐름.이재모피자는 늘 만원.광복동은 옛부산의 쇼핑1번지였음을 보여주나 이제는 원주민들의 쇼핑보다 관광객들이 더 많아졌다.그리고 카페는 늘어났다.
트위스터스 2024.08 어릴 땐 매번 여름만 오면 블럭버스터 뭐 개봉하는가에 대한 관심이 있었는데 OTT가 나온 뒤에는 극장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어졌고 갈 일이 없어졌다. 사실 트위스터스(2024) 이것도 올해 극장에서 본 첫 영화이다.오리지날 트위스터를 재미있게 본 기억이 있어서 (물론 헬렌헌트누님 팬이기도 하고) 오랜만에 보는 허리케인 이야기가 기후위기인 지금의 위기의 지구에서 재미있겠다 싶기도 하고 개봉 후 평이 좋은 것 같아서 극장에 가서 보기로 결정했다.2D로 좀 작은 극장에서 보긴했지만 허리케인의 느낌을 전달하는데는 무리가 없었다. 근데 뭐랄까 오리지날보다 별 재미는 못느꼈다. 이 영화는 돈들인 만큼 재미있게 만들었지만 인물의 설정과 스토리가 원작이 훨씬 더 매력적이었다. 물론 미국적이고 미국적인 영화인건 맞다. ..
시간이 흘러도 좋은 음악 https://www.youtube.com/watch?v=XGxIE1hr0w4 https://www.youtube.com/watch?v=dQw4w9WgXcQ 처음 나왔을 때 좋아했었고 얼마전 밈으로 전세계를 휩쓸 때도 신기하기도 했던 릭 에슬리 노래. 거의 30년의 간격이 있는데 외모나 목소리나 별로 변한게 없는 것 같다. (관리를 너무 잘 하신것 같다.)굵은 목소리가 참 매력적이고 밝은 멜로디가 참 듣기 좋은 곡이었는데 밈에 쓰였을 때 참 어이가 없긴했다. 근데 그걸 즐겁게 받아들이고 대인배처럼 즐기는 가수 본인을 보니 참 재미있었다.아마 어린친구들부터 우리세대까지 모두 잘 즐기지 않을까 싶다. 계속 이런 공연좀 해주면 좋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3meKlaJL..
요즘 반복해서 듣는 음악_Ref https://www.youtube.com/watch?v=dQxh2oja4B8 젊은 시절의 흥얼거렸던 사운드와 멜로디가 강한 음악을 다시 듣기 시작했다.80년대와 90년대가 한국가요에 있어서 르네상스라 불릴만큼 다양한 음악장르와 가수, 방송등이 나왔다. 대중가요로 인기를 끈 가수가 있는 반면, 언더그라운드 시장에서 인기를 끈 가수, 대중보다 민중가요라 하면서 인기를 끈 가수 등 당시 어릴적 들을 수 있는 다양한 음악이 많아서 행복한 시절이었다. 물론 당시 많은 곡들이 짜집기가 되었거나 외국의 것을 그대로 표절 한 것도 많아 실망스럽기도 했지만 지금의 k-pop의 뿌리를 만드는데 많은 기여를 했던 것도 사실이다. Ref는 많은 히트곡이 있지만 그들이 보여주었던 댄스, 비트, 노래, 가수 등 대중적으로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