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 Research

(127)
책_룬샷 6/20/2020 읽기 시작
책_코로나 투자전쟁 자주 듣는 팟캐스트에서 낸 책 읽고 있는 중 6/20 완독 1. 노동성을 늘릴 수 없다면 생산성을 늘려라 2. 생산성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부가가치의 창출이 필요하다. 3. 한국은 노동과 자본에 의존한 수확체감의 세계에서 작은 아이디어 하나가 엄청난 가치를 창출하는 수확체증의 경제로 변화하지 못했다. 4. 성장하는 산업내의 상대적인 가치주를 사야한다. 5. 글로벌 분업화, 밸류체인은 변했다. * 코로나는 어쩌면 시험대이면서 세계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모든문제를 개혁적 드라이브를 거는 촉진제일지도 모른다.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고 미래에 대한 예상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었다. 그 속도가 코로나로 빨라지는 것 뿐이다. 우리는 눈앞에 보이는 '예상'을 대비해야지, 위에서 떨어지는 '사건'에 모든 것을..
책_총균쇠 읽기 시작
책_돈의 속성 1. 돈은 인격체이다- 서로 존중할 줄 아는 친구가 되자 2. 돈은 돈마다 품성이 다르다- 품질 좋은 돈을 벌어야 한다. 정당한 방법으로 차곡차곡모으며 작은 돈이라도 함부로 하지 말자 3.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 규칙적인 수입의 장점은 미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금 흐름을 일정하게 해서 건강한 자산의 축적을 만들어내자. 4. 직장인들이 부자가 되는 2가지 방법- 자기 일처럼 성실하게 일하고 보고를 바로하고 인사를 잘하면 된다. 가장 기본적인 것에 충실하고 끊임없이 공부할 것 5.주식으로 수익을 내는 사람들의 3가지 특징 a) 자신을 경영자로 생각한다. b) 보유하고 있는 돈이 품질이 좋은 돈이다. c) 싸게 살 때까지 기다린다. 6. 만약삼성전자 주식을 아직도 가지고 있었더라면- 오래 갖고 ..
투자에 대한 생각 1번 더 봐야할듯한데 솔직히 가슴에 와 닿지는 않았다. 뭐랄까 정답이 보이면 따라가고 신중하게 투자하고 아님 하지말고 하는 중립적인 태도. 뭔가 읽을 때 마다 답답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각 챕터에 나와있는 제목이 그냥 다가 아닌가 싶다. 한번 다시보면 또 얻는게 있을지도 모르겠다. 읽을지는 모르겠지만.
코로나 시대의 공유경제는? 코로나로 언택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있다. 기존의 비대면 비지니스들은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대면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했던 비지니스는 비지니스 형태를 바꿔야 할지 말아야 할지 기로에 서있다. http://www.city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1297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유경제는 어떻게 될까? - 도시경제신문 [도시경제] 코로나19 사태는 타인과의 접촉을 꺼려하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이는 감염 예방을 위한 불가피한 자기 보호 본능에서 비롯된 결과이다.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 www.citydaily.kr 위의 기사처럼 공유경제의 사용자는 줄어들 것이며 종사자도 줄어들 것이고 결국 옥석만 남을 것이라고 예측하고있다. 지금은 코로나로 불리지만 ..
코로나 이후의 시대 변화 최경영의 경제쇼 04/30/2020 요약 1. 공장의 자동화 가속 2. off-line 매장의 축소 3. 배달사업의 영역확대 4. 대학교육의 변화- 교수들의 실력차가 드러남 5. 종교의 on-line화 6. 빠른 디지털로 변화-투명성이 더 강조됨 7. 기업조직구조의 비효율성이 드러남 8. uncontact를 아이티사업의 최종목표로 수렴 9. 디지털 소외계층증가(노인...) 10. 전방위적 복지가 필요 시대는 변화하는데 코로나가 그 속도를 더 빠르게 가속화시키고 있다. 꼰대 문화는 점점 힘을 잃을 것이고 대학에서 교수의 역할은 지식을 전달하는 것보다 경험을 공유하는 코치의 역할로 바뀔것이며 앞으로의 교수들은 이제 더 절실히 현장경험을 쌓아야 할 것이다.
리딩_04/22 1. 가치와 가격 사이에 건전한 관계를 확립하는 것은 성공적인 투자의 핵심이다. 2. 리스크의 유형 1) 목표에 못 미치는 것 2) 저조한 성과 3) 경력 리스크 4) 이례성 5) 비유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