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73)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화 헬프[디즈니플러스] 어떤 알고리즘인지 모르겠으나 유투브에서 쇼츠로 이 영화를 소개하길래 마침 디즈니플러스를 보고 있으니 주말에 감상을 하였다. 1960년대 미국의 미시시피. 아직 인종차별정책이 유지되고 있는 미국이었고 당시의 시대상황을 잘 볼 수 있었던 영화였다. 영화를 이끌어가는 이는 에이블린이라는 흑인 메이드지만 사건의 중심 및 이야기를 끌고 가는 이는 백인여성 스키터이다. 스키터가 흑인 메이드의 이야기를 인터뷰하면서 책으로 만든게 '헬프'라는 책이고 영화의 제목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이 책이 흑인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에 대해서는 자세히 나오지 않았다. 영화 중에 기억에 남는 장면은 악역인 힐리라는 여성의 메이드인 욜 이라는 흑인여성이 아들의 학비를 보태기 위해 힐리 집에 떨어진 반지를 훔쳤다가 길거리에서 경찰에.. 새로운 가난이 온다(책)2025(3) 김만권 지음 / (주)혜다-2021 / 2025.02.11(완독)신자유주의로 넘어오면서 우리사회는 경쟁과 작은정부가 정착화되면서 부의 양극화와 계층화는 점점 심화되었다.산업화시대의 새로운 기회는 줄어들고 자유경쟁을 기반으로 더 많이 가질려고 하는 경쟁사회가 당연시 되었다. 이에 경쟁에 뒤쳐지거나 탈락한 사람들에 대한 배려와 보살핌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정부와 사회는 이런 사람들에게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거나 자신이 부족한 탓으로 몰아가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이런 신자유주의 시대도 저물어가고 있다. 능력주의와 경쟁도 더 이상 과학 기술의 변화에 통하지 않는 사회가 되고 있고 AI와 로봇 등의 기계가 발달되는 사회에서 점점 인간의 기능과 효율은 뒤로 밀려나고 있다. 그러면 결국 이런 테크를 누가 .. 자신을 아는 훈련 과거 학창시절에는 단체생활을 강조해서 그런지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에 대한 탐구가 없었다.어느정도 머리가 컸을 때도 먹고 사는게 중요하지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에 대해 아는게 중요하냐고 생각해서 그냥 하루하루를 살아가기 바빴다. 시간이 지나고 느끼는 것은 자신을 아는 것 특히 좋아하는 것을 아는 것이 삶을 지속시키고 동기부여를 해주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많이 든다. 다행이 아직 호기심은 남아있는데 그걸 도전할 수 있는 용기는 점점 줄어드는 것 같다. 남들이 좋다고 하는 것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빨리 발견하고 그 깊이를 추구하는게 인생의 만족도가 더 높아질거라 생각한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꼰대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겪어보니 그렇다. 그래서 훈련을 해야한다. 질문도 하고 직접해보면서 기록도하고 얼마나 좋.. classic]The 18th century symphony_C.P.E.BACH&W.F.BACH 바흐가 유명한 건 아는데 , C.P.E.BACH와 W.F.BACH는 누구인가 봤더니 우리가 아는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장남과 차남이다. 바흐의 자식들이 많다고 봤었던 것 같은데 이 두명은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던게 아닌가 싶다. 칼필립 엠마누엘 바흐(차남)는 당대에선 아버지보다 더 뛰어났다고 평을 들었다고 한다. 빌헬름 프리드만 바흐(장남)도 역시 음악적 유산을 아버지에게 많이 받았던 사람이지만 차남보다는 낮게 평가를 받고있다고 한다.저번 바흐 앨범에서는 첼로무반주로 멋지게 들었는데 아들들의 음악은 오케스트라의 멋진 관현악작품들이라 좀 느낌이 달랐다. 18세기의 바로크음악은 잘 모르지만 이 신포니아(심포니)를 들으면 웅장함보다 다채로움이 더 많이 느껴진다. 궁중음악과 교회음악이 대세였을 것인데 궁중음악에.. 요즘 토론들 설연휴 때 손석희 앵커의 질문들을 보았다.한 5분 지나니 든 생각은 첫째 이게 토론을 할 주제인가? 둘째 유시민 작가님은 참 힘드시겠다는 것이다.유작가님은 각오를 하고 나오셨는지 좀 독하게 이야기하시기도 했지만 사실 이런 주제로 이야기하는 것이 웃기다.손석희 앵커는 전부터 느꼈지만 야당, 특히 민주진영에는 약간 까다롭게 대하는 느낌이다. 뭐 그래도 유작가님은 별로 신경안쓸거지만...암튼 2시간 가까이 보고나서 느낀 것은 이런 게스트, 토론 앞으로 안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100분 토론의 정준희 교수님이 그만두고 노무현재단에서 토론프로그램을 하신다. 이걸 보는게 100배 낫다고 본다. 공중파의 인기몰이 매치(마치 스포츠중계하듯)는 이제 그만 했으면 싶고 프로그램을 만드는 제작진은 진짜로 고민 좀 해야 한다.. 창작자를 위한 지브리 스토리텔링(책)2025(2) 이누해 지음 / 도서출판 동녘(2024) / 2025.02.03(완독)AI가 이슈화 되면서 여러 매체에서 글쓰기가 중요하다는 것이 강조되어서 그런지 요즘 글쓰기가 붐이라고 한다. 나 역시 소설 특히 sf쪽으로 관심이 있고 언젠가 한번 써보고 싶은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토리를 어떻게 만드는가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작가의 창의성에 의존해서 많은 스토리텔링이 만들어지긴 하지만 성공한 작품들을 분석해보면서 그 구조를 파악해본다면 어느 정도 스토리의 골격을 볼 수 있을 것이고 글쓰는 능력을 조금 더 확장시킬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한 면에서 이 책은 상당히 도움이 된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은 워낙 유명하고 그 작품성도 좋아서 그들의 스토리텔링은 좋은 교재가 된다.이 책은 총 10장의 챕터를.. 중증외상센터(드라마)_넷플릭스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GsHTag-UMvY 판타지인걸 알고 있지만 의학 드라마는 힘이 있다. 역시 사람을 살리는 것에는 드라마와 이야기가 있다. 지금 의료 상황은 정부의 무지와 고집이 간신히 버티던 다리를 불살라버리고 말았고 눌려왔던 많은 문제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사실 중증외과 수술을 받아할 곳은 다름아닌 의료업계라고 이야기해야 할 듯하다. 암튼 드라마는 시원시원해서 한번에 정주행이 가능하다. 뭐 이런게 가능하냐고 이야기 하겠지만 드라마이기때문에 이해하고 어설픈 신파를 요구하지 않아서 좋고 병원드라마에서 하는 흔한 러브라인이야기 안해서 좋다. 특히나 펠로우의 성장이야기도 있어서 좋다. 마치 허준이 히트쳤을 때 많은 이들이 한의학과로 가겠다는 동기부여가 된 것처럼 이 .. 도그데이즈(영화)_넷플릭스 영화에서 아기와 강아지는 정말 인기가 없을 수가 없는 역할이다. 웃는 아기와 강아지의 모습을 보고만 있어도 기분좋아진다. 이 영화도 강아지를 소재로 해서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아서 만들어진 영화이다. 강아지를 사랑하는 마음이 중요하다와 사람과의 관계도 그러한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제로 캐릭터들을 배분하였다. 솔직히 영화는 뻔한 스토리이고 연기잘하는 배우들도 많이 나온다. 감독은 사람들이 어떤 부분에서 눈물을 흘릴지 알고 자극한다. 그리고 이 영화는 따뜻하게 만들어야지 하는 그런 목적이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편견은 없지만 영화사가 익숙하다. JK필름. 이 공식을 너무나도 잘 활용하는 영화사이다. 아이의 대사에 눈물을 안흘릴 수 없고 착한 사람들을 많이 등장시켜 이야기를 훈훈하게 만든다. 마치.. 이전 1 ··· 4 5 6 7 8 9 10 ··· 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