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L-(27)
NewsHour /2025.08.20
1. 우크라이나의 문제에서 프랑스와 영국은 우크라이나에 주둔군을 파견해서 안전보장을 할 뿐 아니라 우크라이나 군대들의 훈련 및 무기공급 등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미국은 파병은 하지 않으나 공격과 방어에 있어서 폭넓은 지원을 하겠다고 하였다. (패트리어트 무기라든지, 인공위성을 통한 정보통신 등등) 나토에 가입되지 않고 안전보장을 한다고 하면 과연 유럽은 제대로 할까? 나토는 여전히 미군의 전폭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는 눈치였다. 트럼프는 손해를 보기 싫어하고 칭찬받기만을 원한다. 그럼 어떻게든 젤린스키는 선택을 해야 하고 세상엔 공짜는 없다.
2. 공화당이 게리맨더링을 이용하여 텍사스에 공화당 자리를 5석 더 만들 수 있도록 선거구역을 새롭게 정비하기로 하였다. 중간 선거를 대비하기 위해서인데, 민주당도 캘리포니아에 민주당 자리를 5석 만들어 맞대응하려고 한다.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뭐냐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게 정치인 것 같다.미국도 정치적 대립이 더욱 심해져간다.
3. 유투브에 널리 알려진 미국 판사 프랭크 카프리오 판사가 소천하셨다. 재판장에서 아이에게 발언권을 주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유쾌하게 법정을 이끌던 판사였다. 지금 우리 사법부을 보면서 눈이 가는 기사였다.
4. 코로나 백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따로 발표되었다는 기사. 미국의 질병예방통제센터(cdc)와 미국 소아과협회(app)가 2세 미만의 소아에게 코로나 19백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따로 내었다. 소아과협회는 반드시 백신을 맞아야 하고 질병예방통제센터는 선택적으로 백신을 맞는 게 옳고 상식이 최고의 과학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과연 누구 말을 믿어야 하는가? cdc의 수장이 한 이야기를 들어본다면(백신불신론자) 아마 app가 옳지 않을까?
5. 기후변화를 받아들이는 그리고 대처하는 기업들의 증가에 관한 기사. 환경적으로 기후변화를 피할 수 없게 되었고 그로 인한 피해는 이루 말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허리케인 등 자연재난에 대비하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즉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물, 재료, 기술 등을 연구하고 개발해서 기후변화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품을 만들어 수익화하고 있다. 3d프린터로 방파제 같은 것들을 만들거나 수질오염등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들기도 하고 높아진 바다수위에 적응할 수 있는 구조물 등을 보여주기도 한다. 우리도 스콜 같은 기후변화를 겪고 있고 물난리, 더위 등이 갈수록 심해지는데 이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들이 상업적으로 나오면 좋을 것 같다. 국가에서는 사후대비가 대부분인데 사전대비가 가능한 시장을 만들어 주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 같다.
6. 아리조나에서 교육바우처를 이용해서 교육서비스를 소비자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학교를 선택할 수 있다는 기사인데(사립이든 공립이든). 즉 공립학교도 경쟁력을 키우자는 건데 이게 과연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charter school). 물론 사립학교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닐 것이고 공립이라고 다 나쁜 것은 아닌데 직접 학부모와 학생이 바우처를 이용해서 공립학교를 선택한다고 한다면 공교육의 신뢰도가 떨어진 지금 많은 사람들이 사립으로 몰리지 않을까 싶다. 물론 바우처를 받더라도 돈은 더 들겠지만 말이다. 뉴스를 들을수록 이건 아닌 것 같은 생각이 든다.
7. 스미소니언 박물관의 역사전시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딴지에 대한 기사. 트럼프는 미국 역사에 대해서 박물관의 전시들이 부정적인 것들이 많다고 하고 뭔가 밝고 긍정적인 것을 전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된 미국의 역사 특히 노예제도 등이 보여주는 미국 역사의 어두운 면이 싫었던 모양이다. 인터뷰어는 역사는 항상 밝은 면만 존재하는 게 아니고 밝고 어두운 면이 동시에 존재하고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사회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역사는 그 흐름을 어떻게 지나왔는지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역사를 제대로 보고 아이덴티티를 알아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쓸데 없는 소리 하지 말라는 거다. 트럼프는 업적만 보여주고 싶은 마음인가 보다.
Words /
wage 벌이다, 수행하다
deter 단념하다, 억제시키다
robust 튼튼한, 강건한
fraught 걱정스러운, 불안한
backstop 안전장치, 최후의 보루
cannabis 마리화나(의학용)
stalled out 계획이 멈춘상태
tipping point 환경이 변하는 포인트(임계점에 도달하여)
dissipate 사라지다, 소멸하다
resilience 회복력
charter school 공립학교의 한 형태인데 성과위주의 정부와 계약된 학교
segregation 분리 (ex: racial segregation 인종 분리 정책)
marginalize 소외시키다, 주변부로 몰아내다
reminiscent 연상시키는
stifle 억누르다 방해하다 저해하다